* 진남군은 신라 사공공(司空公)의 휘 한(翰)의 24세 손이며, 태조고황제(이성계)의 손(孫)으로서 정종대왕(定宗大王)의 여섯째 아드님이며, 태조고황제 2년(1393년) 2월 15일에 탄생
* 모친은 숙의(淑儀) 평창이씨(平昌李氏)이시다.
연 도
|
내 역
|
1393년
(1세)
|
태조2년
|
o 태조 2년 2월 15일 탄생
o 휘(이름)는 종생(終生)이고, 자는 원보(原甫)이며, 문학에 종사하셨으며, 근검과 청렴을 삶의 근본으로 삼으셨다.
|
1425년
|
세종7년
|
o 세종7년에 정경(正卿)으로 제수(除授 : 왕이 벼슬을 내리는 일)되시고 세종12년에 원윤(元尹)으로 승진(陞進)하셨다.
|
1430년
(38세)
|
세종12년
|
o 세종대왕께서 宗學(왕실학교)을 설치하여, 宗學有司에 진남군을 임명하시고, 종친의 근면과 태만함을 규찰(감찰)토록 하시었다.
|
1442년
|
세종24년
|
o 세종24년에 세종대왕의 명에 의거 방간(정안대군)의 첩자 집에 보관하던 태조고황제의 쉬용(晬容 : 초상화)을 봉영(奉迎 : 맞아들어 관리)하셨다.
|
1452년
(60세)
|
문종2년
|
o 문종2년에 상왕(세종)께서 종실 중에서 학문이 있는 사람을 강과(講科)경서에 능통한자을 뽑던 시험)에 응시토록 시험할 때, 진남군께서 경서(經書)에 통달.
o 이에 문종대왕께서 아름답게 여기시어 학습을 면하라 하시고 자식에게 벼슬을 하사 하시였다.
|
1453년
|
단종원년
|
o 문종께서 진남군에게 학문이 여유하여 재주와 도량이 혼후하며 망령된 일이 없으므로 정의대부(正義大夫)로 승계하시고, 진남군(鎭南君)으로 책봉.
|
1455년
(63세)
|
단종을해
|
o 8월에 전지하시어, 진남군에게 말하시기를 진남군은 경서(經書)의 대의를 통달하셨으니, 취학을 면하라고 허락하시며, 자식 중 1인을 가자(加資)하여 권려함을 시범하라 하시고, 대궐에 나아가 종친의 관례로서 시위(侍衛:호위)하라고 하시였다.(관례적으로 종친은 대왕의 명없이는 시위를 불허)
|
1466년
(74세)
|
세조12년
세조13년
|
o 종실중에서 가장 근면하고 현덕하므로 사옹원과 장원서의 제조로 제수.
o 세조대왕이 종친접견 시, 진남군이 연로하면서도 종친중 솔선수범하므로 숭헌대부로 승계시키고 대왕이 차고 있던 금삽대(金鈒帶)를 풀어서 하사.
|
1468년
(76세)
|
예종원년
|
o 예종원년에 장남 거평군(이름 : 復)을 익대공신(남이옥사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)으로 삼으시니, 진남군을 가덕대부(嘉德大夫 : 종친계 종1품)로 승계시키고 관례에 따라 순충적덕보조공신(純忠積德補祚功臣)으로 책봉.
|
1470년
(78세)
|
성종원년
|
o 성종원년(1470년) 10월15일에 서거하시니 향년 78세 이셨다.
|
연 도
|
내 역
|
1394년
|
태조3년
|
o 파시조의 부인인 의춘군부인(宜春郡夫人) 의령남씨는 태조3년에 탄생하시어 숙신(淑愼:착하고 조심성)하고 자혜하여 부덕(婦德)스러워셨다.
o 의령남씨는 상호군(上護軍) 대광보국숭록대부(정1품:영의정)이신 南深의 따님이며, 양정공(良靖公) 남좌시(南佐時)의 손녀이시다,
|
1475년
|
성종6년
|
성종6년(1475년) 9월 9일에 서거하시니, 향년 82세 이시다.
|
1420년
|
세종2년
|
o 파시조 진남군과 의춘군부인 의령남씨 사이에 4남 2녀를 두셨다.
o 장남은 거평군 휘 복(復)이시며, 세종2년 4월 10일에 출생, 병마절도사
|
1426년
|
세종8년
|
o 2남은 진례군 휘 형(衡)이시며, 세종8년 9월 11일에 출생, 이조참판
|
1428년
|
세종10년
|
o 3남은 봉성군 휘 이(����)이시며, 세종10년 戊申 생, 병조참의
o 4남은 금산군 휘 연(衍)이시며, 종의군의 계후로 출계
o 2명의 따님은 김승(金昇) 및 최승류(崔昇流)에게 출가
|
연 도
|
내 역
|
1470년
|
성종원년
|
o 진남군께서 성종원년 10월 15일에 서거하시자, 성종대왕께서 조회를 거두고 조곡하시며, 시호(諡號:사후에 공덕을 칭송)를 이간(夷簡)이라고 명하시다.
o 성종대왕께서 하명하신 이간(夷簡)이란 시호의 뜻은 아래와 같다. 마음이 편안하고 고요함을 좋아하는 것을 이(이)라 하고(安心好靜曰이) 겸손하고 온화하면서 게으르지 아니함을 간(簡)이라고 하다.(平易不懈曰簡)
|
1470년
|
최초장지
|
o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논현리 비정동 경좌에 상하폄
|
1971년
|
천묘장지
|
o 6월25일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76번지 계좌로 부인부좌(夫人婦左) 이폄
|
미상
|
사우건립
|
o 국조(國朝 : 왕조미상)로부터 불천지위(不遷之位)를 모시는 사우(祠宇)건립의 명을 받아 현재 위치인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565-1번지에 사우 건립.
|
1872년
|
고종9년
|
o 고종9년에 영종정경 세자사부(世子師傅) 춘추관사(春秋館事)에 추증.
|
1888년
|
고종25년
|
o 사우를 1888년에 1차 중수하고, 1929년에 2차 중수하였다.
|
1973년
|
10.07
|
o 진남군의 천묘때, 성석동에 제1재실(벽오재), 역북동에 제2재실(구성재) 건립
|
매년
|
|
o 벽오재(진남군 사우)에서 기제사(2회)와 명절제사(설날, 한식, 추석)를 봉행.
|
매년
|
10.13
|
o 구성재(진남군 묘소)에서 음력 10월 13일에 시향(시제사)를 봉행하고 있음.
|
1975년
|
12월
|
o 경주에 거주하고 있는 후손(경주문중)이 진남군의 학덕을 숭상하고 추모위해 경주시 양북면 와읍리 陵谷마을에 우천서당과 상덕사(진남군의 제3 재실)건립
|
매년
|
3월초해일
|
o 경주 향유(鄕儒)에서 경주문중과 협의하여 진남군을 주벽(主壁)으로 모시고 장헌세자의 변으로 경주에 은거하신 14세손 우옹공(愚翁公)을 배향하여 위패를 모시고 음력 3월 초 亥日에 향례(享禮)를 봉행(奉行)하고 있음.
|
▶ 위의 자료는 선원속보(족보)와 전주이씨 1,300년사 879쪽에 수록된 내용을 근거로 수집 및 정리 하였음
▶ 자료수집 및 정리 : 재천(在千), 경종(景鍾)
|